본문 바로가기

웩슬러 지능검사가 필요할까요? 3.웩슬러 유아검사 결과지 해석하는 방법

tosiri12 2025. 4. 29.

지난 시간부터 웩슬러 지능검사에 대해 소개를 하고 있는데요,

 

첫 번째 시간에는 지능 검사를 하기 전 부모님의 마음가짐

2025.04.17 - [육아] - 웩슬러 지능검사가 필요할까요? 1. 지능검사를 하기 전 부모님의 마음가짐

 

웩슬러 지능검사가 필요할까요? 1. 지능검사를 하기 전 부모님의 마음가짐

저는 아이에 대해 잘 알고 싶고, 잘 키우고 싶은 엄마입니다. 교육을 전공했고, 현재 지능검사를 진행하며 아이들과 부모님들을 만나고 있습니다.검사를 신청하는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교육에

withlael.com

 

두 번째 시간에는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알 수 있는 것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2025.04.18 - [육아] - 웩슬러 지능검사가 필요할까요? 2.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알 수 있는 것들

 

웩슬러 지능검사가 필요할까요? 2. 웩슬러 지능검사에서 알 수 있는 것들

지난 시간에는 웩슬러 지능검사를 하기 전 부모님의 마음가짐에 대해 포스팅했습니다.아래의 글을 참고해 주세요.2025.04.17 - [육아] - 웩슬러 지능검사가 필요할까요? 1. 지능검사를 하기 전 부모

withlael.com

 

이번 세 번째 시간에는 웩슬러 유아검사 결과지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웩슬러 유아검사 결과지 해석 방법

1. 2페이지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결과지 2페이지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결과지 2페이지입니다.

1페이지는 해당 아동의 생년월일, 이름 등이 기재되어 있어 어렵지 않게 보실 수 있습니다.

2페이지를 보시면 소검사 점수 분석이라고 나와 있는데, 지능검사는 5가지 지표 아래에 다양한 소검사들이 분포하고 있습니다.

그 소검사의 점수를 상세히 보여주는 페이지입니다.

 

소검사 점수분석

소검사: 소검사 이름입니다.

원점수: 실제로 획득한 점수입니다.

환산점수: 실제로 획득한 원점수를 또래와 비교하기 쉽게 19점 만점, 10점 평균으로 환산한 점수입니다.

백분위: 100명 중에 각 소검사가 몇 등 정도 위치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하위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상위 몇 등인지 보시고 싶다면 100에서 백분위를 빼서 보시면 편합니다.

추정연령: 해당 소검사 능력의 연령입니다. 아이의 실제 연령은 오른쪽 상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해당 결과지에 토막 짜기가 6:5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는 6세 5개월 정도의 능력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결과지 아동이 실제 5세 5개월이었다면 약 1년 정도 능력이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소검사 환산점수 프로파일

-그래프를 보시면 맨 위쪽에 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추론, 작업기억, 처리속도라고 적혀 있습니다. 이것이 5가지 지표입니다.

-언어이해 지표 맨 아래에 보시면 상식, 공통성, 어휘, 이해라고 적혀있는데, 이것이 언어이해에 해당하는 소검사입니다.(나머지 동일)

-소검사에 점이 표시되어 있지 않는 항목은 실시를 하지 않은 항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점이 평균입니다.

 

2. 3페이지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3페이지

 

3페이지는 지표점수 분석입니다. 각 지표의 점수를 나타냅니다.

지표점수 분석

척도: 지표의 이름

환산점수의 합: 각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의 환산점수 합

지표점수: 각 지표에 해당하는 아이큐(언어이해 지표가 130이면, 언어이해 아이큐가 130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백분위: 각 지표의 능력이 100명 중에 몇 등정도 인지 알 수 있습니다.(언어이해 지표의 백분위가 98.2라면 상위로 표기했을 때 100명 중에 1.8등이라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신뢰구간: 100번을 했을 때, 90번 혹은 95번은 신뢰구간 안에 점수가 있을 것이다라는 추정치입니다. (유아검사는 신뢰구간이 큽니다.)

분류범주: 매우 낮음(아이큐 70 미만)->낮음(아이큐 70-79)->평균 하(아이큐 80-89)->평균(아이큐 90-109)->평균 상(아이큐 110-119)->우수(아이큐 120-129)->매우 우수 범주(아이큐 130 이상)에서 어디에 속하는지 알 수 있습니다.

 

지표점수 프로파일

-100이 평균입니다.

-전체척도는 전체 아이큐입니다.

 

3. 4페이지

웩슬러 지능검사 4페이지

 

지표 수준 강점/ 약점

지표에서 강, 약점이 무엇인지 알 수 있습니다.

척도: 지표 이름

지표점수: 각 지표의 아이큐

비교점수: 총 지표점수의 평균

점수차: 지표 점수와 비교점수(평균점수)의 차이

임계값: 기준이 되는 점수차(임계값 이상이 되면 강(플러스 점수), 약점(마이너스 점수)이 됩니다.)

강점/약점: 강점이 S, 약점이 W입니다.

기저율: 내가 가지고 있는 점수차를 100명 중에 몇 명 정도 이 점수차로 가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언어이해 점수차가 12.8이고 기저율이 10-25%입니다. 그렇다면 12.8점 수차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100명 중에 10명-25명이라는 뜻입니다. 강, 약점이 될수록 편차가 크다는 것이기 때문에 기저율이 작고, 강, 약점이 아닌 것들일수록 편차가 작다는 것이기 때문에 기저율이 큽니다.

 

지표 수준 차이비교

-각 지표 간의 점수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봅니다.

-예를 들어 언어이해와 시공간을 비교했을 때 점수차가 22점입니다. 임계값이 16.32이기 때문에 임계값 이상의 점수 차입니다. 이럴 경우 유의성에서 Y로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언어이해와 유동추론을 비교했을 때 점수차가 마이너스 1점입니다. 임계값이 12.67이기 때문에 임계값을 넘지 않았습니다. 이럴 경우 유의성에서 N으로 표시됩니다.

-Y표기일수록 지표 간 편차가 크다는 뜻이고, N표기일수록 지표 간 편차가 적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4. 5페이지

웩슬러 지능검사 5페이지

 

소검사에서 강, 약점은 표기합니다.

소검사 수준 강점/약점

소검사: 소검사 이름

환산점수: 원점수를 비교하기 쉽도록 환산한 점수(19점 만점에 10점 평균)

비교점수: 환산점수의 평균

점수차: 환산점수와 비교점수의 차이

 

소검사수 준 차이비교

소검사 수준 차이비교에서는 각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의 차이만 비교하였습니다.

그래프에서

상식, 공통성을 비교했는데, 상식과 공통성은 언어이해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입니다. 

토막 짜기, 모양 맞추기는 시공간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입니다.

행렬추리, 공통그림 찾기는 유동추론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입니다.

그림기억, 위치 찾기는 작업기억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입니다.

동형 찾기, 선택하기는 처리속도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입니다.

 

각 지표에 해당하는 소검사들끼리 편차가 크면 지표점수가 의미 있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그림기억과 위치 찾기의 편차가 커서 유의성에 Y로 표기가 되었습니다.

이 아동은 작업기억 아이큐가 117이고 평균상 수준인데, 이 점수가 의미 있지 않습니다.

작업기억은 평균일 수도 있고, 우수할 수도 있다는 것인데, 점수의 편차가 있을 경우 해당 내용에 대해 검사를 시행하고 해석하시는 분들에게 왜 그랬는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5. 6페이지

웩슬러 지능검사 6페이지

 

추가분석 페이지에 해당하는 검사는 모두 시행을 하지 않았을 수 있습니다.

해당아동은 모두 시행해서 전체 표기가 되었습니다.

 

소검사 점수분석

소검사

-수용어휘: 언어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입니다.

-그림 명명: 그림을 보고 이름이 무엇인지 맞추는 검사입니다.

-선택하기의 비정렬: 정렬이 되어 있지 않은 그림들 속에서 지시한 그림만 찾는 활동입니다.

-선택하기의 정렬: 정렬이 되어 있는 그림들 속에서 지시한 그림만 찾는 활동입니다.)

 

추가지표점수 분석

-어휘습득: 수용어휘와 그림명명의 점수로 아이큐를 산출한 것입니다. 언어를 듣고 이해하는 능력과 어휘력만 봤을 때 어느 정도의 능력인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비언어: 언어이해 지표를 제외한 다른 지표들의 아이큐입니다. 언어능력을 제외한 다른 능력이 어느 정도인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일반능력: 작업기억, 처리속도를 제외한 다른 지표들(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추론)의 아이큐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는 능력입니다.

-인지효율성: 언어이해, 시공간, 유동추론을 제외한 다른 지표들(작업기억, 처리속도)의 아이큐입니다. 인지효율은 일반능력을 보여주고 활용하는 능력입니다. 인지효율이 일반능력에 비해 높은 아이들은 자기 능력에 비해 능력을 잘 활용하고 보여줄 수 있는 아이들입니다.

 

 

검사지는 해당 기관에 따라 다른 검사지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제가 보여드린 검사결과지는 기본으로 출력하는 검사 결과지이며, 해당 기관에 따라 각 형식에 맞춰서 결과지를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나 해당내용은 다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제가 보여드린 결과지를 받으셨을 때 해석방법을 잘 모르실 분들을 위해 포스팅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댓글